본문 바로가기

세상을 우주에서 본다는 건23

헤일로와 은하의 진화를 밝히는 열쇠 우주를 이루는 수많은 은하들은 단순히 별과 가스로만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 바깥에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은하 전체를 감싸고 있는 거대한 구조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를 헤일로라고 부르는데, 본래 무리나 후광을 뜻하는 말이지만 천문학에서는 은하의 외곽을 둘러싼 구형의 영역을 지칭합니다. 헤일로는 크게 별로 이루어진 별헤일로와 눈에 보이지 않는 암흑물질로 이루어진 암흑헤일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가운데 특히 암흑헤일로는 은하의 형성과 진화, 더 나아가 우주 전체의 구조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평가받습니다. 우리 은하뿐만 아니라 다른 은하들 역시 이러한 헤일로 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 그 성질과 분포를 밝히는 일은 곧 우주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는 중요한 길잡이가 됩니다. 우리 은하와 별헤일로의 의미.. 2025. 9. 5.
황경과 절기의 이해 황경은 천문학에서 태양과 별, 행성의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으로, 하늘을 이해하고 계절의 흐름을 알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요소입니다. 황도좌표계라는 특별한 좌표 체계에서 활용되며 춘분점을 기준으로 동쪽 방향으로 잰 각도를 뜻합니다. 고대 사회에서는 농경과 계절 구분의 기준이 되었고, 현대 천문학에서는 천체의 정확한 위치를 기록하고 계산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황경의 기본 개념과 특징황경은 태양계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고안된 황도좌표계에서 사용되는 좌표값입니다. 적도좌표계에서 사용하는 적경은 시간을 단위로 표현되지만, 황경은 0도에서 360도까지 각도를 단순하게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황경의 기준점은 춘분점이며, 태양이 지나는 길인 황도를 따라 측정합니다. 지구 중심 좌표계에.. 2025. 9. 5.
블랙홀의 신비와 과학적 이해 블랙홀은 강력한 중력으로 인해 빛조차 빠져나올 수 없는 천체를 의미합니다. 겉보기에는 아무것도 없는 검은 공간처럼 보이지만, 그 내부에서는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물리 법칙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인류는 오랫동안 블랙홀을 단순한 가설로만 여겼지만, 현대 과학의 발전과 관측 장비의 발달로 실제 존재를 확인하게 되었고, 현재는 우주 연구의 핵심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블랙홀의 크기와 사건의 지평선, 다양한 종류와 진화 과정, 그리고 인류가 블랙홀을 실제로 관측해 낸 과정까지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지평선과 블랙홀의 크기블랙홀은 다른 천체와 달리 표면이나 내부 구조를 직접 확인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크기라고 부르는 개념은 사실상 빛이 더 이상 빠져나올 수 없는 경계, 즉 사건의 지.. 2025. 9. 4.
북극성의 신비와 변화하는 위치 밤하늘을 바라볼 때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별 중 하나가 바로 북극성입니다. 북극성은 작은 곰자리에서 가장 밝게 빛나며, 예로부터 사람들에게 길잡이 별로 불려 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북극성을 찾는 방법, 북극성이 가진 특징, 그리고 세차현상으로 인해 달라지는 위치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보겠습니다. 북극성을 찾는 방법북극성은 옛날부터 길을 찾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되었습니다. 나침반이 없던 시절에도 여행자나 항해자들은 북극성을 보고 방향을 가늠하곤 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북극성을 쉽게 찾을 수 있을까요.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은 큰 곰자리의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자리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먼저 북두칠성의 국자 모양 끝 부분 두 별을 이어서, 그 간격의 약 다섯 배를 연장해 나가면 북극성에 도달할 수.. 2025. 9. 4.